행복을 즐기는 시간, 티타임
오비이락파사두(烏飛梨落破蛇頭) 본문
'까마귀 날자 배 떨어진다' 란 의미를 가진 이 말은
우연한 일이 겹치게 일어나서 억울하게 누명을 쓸 때
인용하는 사자성어 입니다.
중국의 고승 가운데 천태지라는 분이 있다.
이 스님은 천태산에 오래 머물며 수행을 한 고승으로
흔히 천태대사로 불린다.
어느 날 천태대사가 지관 삼매에 들어있었는데,
산돼지 한 마리가 앞으로 지나갔고,
잠시 뒤에 활을 든 사냥꾼이 나타나서 대사에게 물었다.
"산돼지가 이리로 지나갔는데 못보셨습니까?"
천태대사가 사냥꾼을 살펴본 후
몇 마디 나누다가 말했다.
"엽사(獵師)여, 그 활을 던져버리시오."
그리고 대사는 게송을 읊었다.
오비이락파사두 (烏飛梨落破蛇頭)
사변저위석전치 (蛇變猪爲石轉雉)
치작엽인욕사저 (雉作獵人欲射猪)
도순위설해원결 (導順爲說解怨結)
까마귀 날자 배 떨어져 아래 있던 뱀 머리가 깨졌네
멧돼지로 환생한 뱀은 바위를 굴려 꿩을 죽였네
꿩이 사냥꾼되어 멧돼지를 쏘려 하니
도인이 삼생의 연을 설명하고 원한을 풀었네.
내용을 보면,
까마귀가 날면서 배가 떨어졌고 그 배에 하필
그 배나무 아래서 휴식을 취하던
뱀이 머리가 깨져 죽게 됩니다.
뱀은 죽어 산돼지로 태어나고
뱀을 우연찮게 죽였던 까마귀는 죽어
꿩으로 다시 태어났다고 합니다.
이른 봄 꿩이 양지쪽에 앉아 햇볕을 쬐고 있는데
마침 산비탈을 지나던 산돼지가
그만 돌을 헛디디고 말았고
그 돌이 굴러 한창 행복하게
볕바라기 중이던 꿩을 치여 죽였답니다.
꿩은 죽어 다시 사람으로 태어나
사냥꾼이 되었는데
어느날 산에서 우연히 산돼지와 마주칩니다.
사냥꾼이 그 산돼지를 쏘려하자 산돼지는
마침 근처에 있던 조그만 암자로 숨어들게 되지요.
이 암자에는 지혜의 눈이 열린
스님 한분이 살고 계셨더랍니다.
스님이 가만 참선을 하고 앉아 있으려니
절 주위에서 죽고 죽이는 과거의 원한 관계가
뒤엉켜 일촉즉발의 광경이 펼쳐지고 있었고요.
스님은 사냥꾼에게 가서
산돼지를 죽이지 말라 하면서
과거로부터 이어져 온 서로의
원한 관계를 설명해 주었고
이에 사냥꾼은 마침내
발심하여 불제자가 되었답니다.
이 삼생에 거친 묘한 인연 이야기는
천수경에 나온다고 합니다.
그리고 경기도 안성에 있는 청룡사에는
이 내용을 담은 벽화가 있습니다.
사설로
멧돼지와 사람의 관계가
잘 연결되지 않아서 찾아보니
멧돼지 수명이 10~20년 정도라고 합니다.
그리고 의학관련 서적에 조선시대 평균수명이
20세라고 하는데
이유는 영유아 사망률이 높아서입니다.
영유아 사망을 제외하고
성장한 사람들만 쳐도
40을 넘기기 힘들었던 것이죠.
사냥꾼을 10대가 되어서
하지말란 법은 없으므로
멧돼지와 사냥꾼의 관계가 이해가 됩니다.
옛날에는 10대에 결혼해서
아이를 낳았으니까요.
당시는 의술이 발달하지 못해서
병에 걸리면 앓다가 죽을 수밖에 없었는데
서민들은 먹는 것이 부실해서
굶어죽는 경우도 많았고
위생상태도 나빠서
전염병이 돌면 마을 전체가
몰살하는 경우도 많았습니다.
그래서 조선시대에서 40을 넘기면 장수한 것이
60이면 가문의 영광이라하여 잔치를 했지요.
우리가 일반적으로
조선시대 왕들이 단명했다고 하는데
실제로 계산을 해보면
상당히 오래 살았음을 알 수 있습니다.
태조(74), 정종(63), 태종(56), 세종(54),
세조(52), 중종(57), 선조(57), 광해군(67),
인조(55), 숙종(60), 영조(83), 고종(67),
순종(52) 등이 장수한 왕으로 꼽히구요.
모두 계산해 보면 40이 넘는다고 합니다.
왜냐하면 성인이 되어야 왕이 되는데
기본 20으로 시작하기 때문에
최고의 의술 혜택을 봤기 때문입니다.
'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국사를 창건한 김대성 이야기 (0) | 2015.12.27 |
---|---|
상수학(象數學)의 대가(大家) 소강절 선생 이야기 (0) | 2015.12.26 |
번개의 힘에 대해서 (0) | 2015.12.19 |
저승에 다녀온 사례 (0) | 2015.11.26 |
[여보게, 저승갈때 뭘 가지고 가지] 석용산 스님 에세이 7가지 이야기 (0) | 2015.11.22 |